총 169건 중 169건 출력
, 11/17 페이지
-
101
-
조선후기 호미씻이[洗鋤宴] 형성의 농업사적 배경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2,
2003,
pp.45-63)
-
102
-
전통적 기제사를 통해 본 조상관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23,
2002,
pp.357-374)
-
103
-
궁중 내농작과 농가 내농작의 의미와 기능-궁중풍속과 민속의 관계를 생각하며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45,
2007,
pp.95-142)
-
104
-
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 연구의 가능성과 의의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5,
pp.75-106)
-
105
-
연변 조선족자치주 안동촌 주생활의 생태민속학적 접근-그들의 고향 경북과 다른 환경에 대한 적응과정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0,
pp.71-96)
-
106
-
농촌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문화의 재창조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12,
pp.163-189)
-
107
-
한식(韓食)에 담긴 전승문화적 논리와 지식 그리고 가치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민속연구,
v.0,
2016,
pp.7-42)
-
108
-
주민 주도형 마을문화자료관 만들기의 가능성과 의의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17,
2011,
pp.123-155)
-
109
-
한국 농업 근현대화에 따른 농촌문화의 변동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7,
2008,
pp.49-79)
-
110
-
근현대 생활문화 조사와 연구의 방향 -새로운 직종의 등장과 관련하여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17,
pp.5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