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52건 중 752건 출력
, 11/76 페이지
-
101
-
유가적 사유에 의한 도산서당 원림(園林) 이해 - 유가의 재현성, 관계성, 수양의 특성을 중심으로 -
-
박연규;
경기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13,
pp.60-86)
-
102
-
책의 산실을 찾아서 - '반계수록'의 산실 반계서당을 찾아서
-
강성민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21,
2002,
pp.31-33)
-
103.
- 서당식 교육방법을 통한 시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
- 김성훈
-
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60장, 2007
-
104
-
심산 김창숙의 「謹次三峰書堂十二詠」 연구 - 한주 이진상의 사상에 입각한 이해
-
이순희;
경북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12,
pp.271-298)
-
105
-
A Study on Simsan Kim Chang-suk's Geunchasambongseodangsipiyeong(謹次三峰書堂十二詠) - Understanding Based on Hanju Lee Jin-sang's Thought -
-
Lee, Soon-hee;
이순희;
;
(국어교육연구,
v.51,
2012,
pp.271-298)
-
106
-
A study on Seodang Education at An-dong in the 16th century - Focused on Dosan-Seodang and Toegye’s self-cultivation theory -
-
Kim , Ja Woon;
;
(民族文化論叢= The journal of Korean cultural studies,
v.69,
2018,
pp.1-59)
-
107
-
서당교육의 인성교육적 의의와 수업 적용 방안: John Wilson과 James Rest의 도덕성 요소를 중심으로
-
박형빈;
서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교육,
v.33,
2022,
pp.19-33)
-
108
-
정순우『, 서당의 사회사 -서당으로 읽는 조선 교육의 흐름-』, (서울: 태학사, 2012), 506쪽.
-
정진영;
안동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13,
pp.507-518)
-
109
-
조선후기에 서당 학동들이 읽은 탄원서
-
전경목;
한국학중앙연구원;
(古文書硏究,
v.48,
2016,
pp.257-286)
-
110
-
일제강점기 개량서당의 일본어교육에 관한 연구
-
송숙정;
전북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23,
pp.21-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