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78건 중 478건 출력
, 11/48 페이지
-
101
-
중학교 2학년 스토리텔링 모델 수학교과서 개발 및 적용
-
이재학;
서보억;
권영철;
신현용;
이경언;
이근숙;
전윤배;
한국교원대학교;
대구가톨릭대학교;
서재중학교;
한국교원대;
제주대학교;
영안중학교;
금오공과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27,
2013,
pp.321-339)
-
102
-
자기조절노트를 활용한 온라인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과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-‘식물의 한살이’단원을 중심으로 -
-
김혜란;
최선영;
서재초등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생물교육,
v.49,
2021,
pp.486-495)
-
103.
- 문방사우(文房四友)를 모티브로 한 도자 데스크웨어 연구 : 동물형상을 중심으로
- 김미혜
-
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45, 2023
-
104
-
[서평] 에도시대란 과연 어떠한 시대였는가? 전체사를 생각하다 ⟨쓰지 다쓰야 지음, 김선희 옮김, 에도시대를 생각한다-도쿠가와 3백 년의 유산(빈서재, 2023)⟩
-
조승미;
부산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23,
pp.175-182)
-
105.
- 전당후재형 서원건축의 특성에 관한연구
- 박종찬
-
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v, 64 p., 2010
-
106
-
교사협력, 직무스트레스,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: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
-
이혜령;
강호수;
대구서재초등학교;
경북대학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39,
2022,
pp.409-438)
-
107.
- 드라마 공간에서의 플라워디자인 연출과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
- 남보라
-
대구대학교, 국내석사,
ⅵ, 73 p., 2015
-
108
-
대학 글쓰기와 읽기 수업에서 활용한 MIE의 의의와 교육적 효과에 관한 고찰 - 네이버의 <지식인의 서재> 동영상 사례를 중심으로
-
신희선;
숙명여자대학교;
(사고와표현,
v.9,
2016,
pp.121-168)
-
109
-
국가적 서사 담론의 ‘여백’을 기록하기 - 현무암ㆍ파이차제 스베틀라나, 고토 하루키 사진, 서재길 역, 『사할린 잔류자들—국가가 잊은 존재들의 삶의 기록』, 책과 함께, 2019
-
정창훈;
동국대학교;
(상허학보,
v.62,
2021,
pp.485-508)
-
110
-
박완서 소설 『서있는 여자』의 젠더 지리학과 정체성 탐색
-
정미숙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7,
2016,
pp.23-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