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4건 중 164건 출력
, 11/17 페이지
-
101
-
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 속 주제의식
-
박혜란;
안병곤;
경상대학교;
경상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2,
pp.307-322)
-
102
-
日韓両言語の過去回想表現「っけ」·「な」と 「-더-」·「-지」の対照研究
-
김수영;
안병곤;
경상대학교;
경상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2,
pp.51-66)
-
103
-
한일 양국의 「電子町内会」와 「인터넷반상회」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대한 연구
-
민주현;
안병곤;
경상대학교;
경상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0,
pp.349-368)
-
104
-
한일 양국 가족기능의 변화가 노인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
-
안병곤;
정희순;
경상대학교;
경남정보대학;
(일어일문학,
v.0,
2010,
pp.361-390)
-
105
-
마치즈쿠리의 시민참여와 이벤트의 역할 연구
-
김한수;
안병곤;
전북과학대학;
경상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0,
2008,
pp.249-271)
-
106
-
日帝 强占期 朝鮮 敎育 實態 調査 硏究(2)
-
정태준;
안병곤;
동명대학;
경상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0,
2005,
pp.179-198)
-
107
-
한일 신여성의 교육관 연구
-
우정미;
안병곤;
경상대학교;
경상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0,
2008,
pp.333-352)
-
108
-
한일 양국의 유행가에 나타난 슬픔(悲しみ) 연구
-
박상희;
안병곤;
경상대학교 대학원;
경상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0,
2015,
pp.195-213)
-
109
-
「오타쿠」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
-
조홍미;
안병곤;
경성대학교;
경상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0,
2010,
pp.183-198)
-
110
-
韓日 兩國의 新語를 통해 살펴본 社會變化의 相對的 特徵 硏究 ─ 2002年부터 2008年의 新語를 중심으로 ─
-
김연정;
안병곤;
합포고등학교;
경상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0,
2009,
pp.257-27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