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11/16 페이지
-
101
-
고구려와 중국왕조의 만주지역에 대한 공간인식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7,
pp.165-208)
-
102
-
7-8세기 신라의 時報制 시행과 都城民의 시간생활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대구사학,
v.132,
2018,
pp.127-158)
-
103
-
신라 중성리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9,
pp.107-146)
-
104
-
신라 냉수리비와 봉평리비의 단락구성과 서사구조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19,
pp.3-44)
-
105
-
7세기 만주·한반도 전쟁과 지정학 구도의 재편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20,
pp.279-319)
-
106
-
삼국형성기 문헌사와 고고학의 접점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상고사학보,
v.100,
2018,
pp.109-136)
-
107
-
5세기 후반 高句麗· 勿吉의 충돌과 북방 接境空間의 변화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앙사론,
v.0,
2018,
pp.155-209)
-
108
-
삼국통일 전후 신라 도성의 공간 구조 변화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9,
pp.240-268)
-
109
-
高句麗 國內城期의 도성 경관과 토지 이용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5,
2019,
pp.9-38)
-
110
-
백제 熊津 都城의 왕궁 위치와 조영과정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17,
pp.1-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