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11/16 페이지
-
101
-
7-8세기 신라의 時報制 시행과 都城民의 시간생활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대구사학,
v.132,
2018,
pp.127-158)
-
102
-
고구려의 韓半島 中部地域 지배와 漢城 別都의 건설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20,
pp.233-274)
-
103
-
『括地志』에 나타난 백제 泗沘 都城의 공간구조와 扶蘇山城의 성격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백제문화,
v.0,
2022,
pp.101-134)
-
104
-
5세기 초·중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과 고구려의 외교정책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2,
pp.115-161)
-
105
-
백제 熊津 都城의 왕궁 위치와 조영과정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17,
pp.1-39)
-
106
-
고구려와 중국왕조의 만주지역에 대한 공간인식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7,
pp.165-208)
-
107
-
고구려 고고학 연구의 기준을 마련하다 - 강현숙ㆍ양시은ㆍ최종택 저, 『고구려 고고학』(진인진, 2020) -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1,
2021,
pp.217-229)
-
108
-
한국사 연구의 신경향과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1,
pp.2-34)
-
109
-
고구려의 ‘남평양(南平壤)’ 건설과 운영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21,
pp.33-74)
-
110
-
고구려 유적의 ‘井’자 출토 현황과 그 의미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木簡과 文字,
v.0,
2024,
pp.67-1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