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5건 중 155건 출력
, 11/16 페이지
-
101
-
1308~1310년 고려내 “牧・府 신설”의 내용과 의미 -충선왕대 지방제도[계수관제] 개편방향에 대한 검토-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사연구,
v.0,
2012,
pp.67-119)
-
102
-
고려 공민왕대 정부 주도 교역의 여건 및 특징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학,
v.34,
2011,
pp.195-240)
-
103
-
고려후기 元 屯田의 운영과 변화
-
이강한;
서울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07,
pp.1-37)
-
104
-
이색의 삶과 생각에 대한 서평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학,
v.38,
2015,
pp.183-198)
-
105
-
1270~80년대 고려내 鷹坊 운영 및 대외무역
-
이강한;
BK21 동아시아한국학사업단;
(한국사연구,
v.0,
2009,
pp.75-117)
-
106
-
고려 충숙왕 대 科擧制정비의 내용과 의미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0,
pp.143-190)
-
107
-
공민왕 5년(1356) ‘反元改革’의 재검토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09,
pp.183-231)
-
108
-
고려시대 대외교역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13,
pp.37-81)
-
109
-
윤은숙, 『몽골제국의 만주지배사』 (2010, 소나무)에 대한 서평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역사학보,
v.0,
2010,
pp.387-405)
-
110
-
고려후기 외관(外官)의 신설‧승격 및 권위제고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사연구,
v.0,
2015,
pp.29-1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