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0건 중 150건 출력
, 11/15 페이지
-
101
-
이창동의 ⟨버닝⟩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-무라카미 하루키,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-
-
황경;
고려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9,
pp.165-192)
-
102.
- 영화적 시공간 속에 나타난 ‘리얼리즘적 유령기록’의 비교연구 : 이창동의 <박하사탕>, 허우샤오시앤의 <비정성시>를 중심으로
- 보메이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26, 2022
-
103
-
다매체시대의 문학비평 (1) : 원작소설과 각색영화의 주제해석에 관하여 -이청준「벌레이야기」와 이창동 ⟨밀양⟩
-
나소정;
단국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8,
2009,
pp.253-280)
-
104.
- 한중 현실주의 영화 사례연구
- TANG QIANQIAN
-
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52, 2024
-
105
-
무라카미 하루키의「헛간을 태우다」와 이창동의 ⟨버닝⟩에 나타난 세계관-서사방법과 시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
-
김정희;
경기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53,
2020,
pp.5-28)
-
106.
- 영화 '초록 물고기'와 '박하사탕'의 시간과 공간의 의미 : 서사 분석을 통하여
- 박경희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16p., 2000
-
107
-
The Strangers in Chang-dong Lee’s Burning and Chan-wook Park’s Decision to Leave
-
안유진;
연세대학교;
(신종교연구,
v.51,
2024,
pp.115-134)
-
108
-
시에 대한 가치론적 물음과 응답의 영화, <시>
-
황혜진;
건국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1,
pp.621-649)
-
109
-
용서와 인간실존의 문제에 대한 두 태도 - 단편소설 「벌레이야기」와 영화 <밀양>
-
김희선;
성결대학교;
(문학과 종교,
v.14,
2009,
pp.163-194)
-
110.
- 영화와 TV드라마 영상기법 비교 분석을 통한 TV드라마 개선 방안 연구 : 셔레이드(Charade) 기법을 중심으로
- 이응진
-
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, 국내석사,
xviii, 196 p.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