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56건 중 256건 출력
, 11/26 페이지
-
101
-
‘트랜스 아이덴티티’의 개념과 유형: 캐릭터, 스토리텔링, 담론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6,
pp.131-146)
-
102
-
초기 한·중 영화교류의 한 면모: 해방 이전 한국에 유입된 중국 영화를 중심으로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영상예술연구,
v.0,
2007,
pp.9-31)
-
103
-
희미한 흔적과 대체된 상상 ― 한국의 대중과 함께 홍콩을 문제화하기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14,
pp.143-171)
-
104
-
1920년대 중국 시 유파론 비판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연구,
v.24,
2003,
pp.145-160)
-
105
-
韩国电视剧的历史和特点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중사회과학연구,
v.10,
2012,
pp.307-320)
-
106
-
국내 중국 문학 관련 지식의 생산과 유통 ― 가오싱지안(高行健)의 경우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문학,
v.70,
2012,
pp.321-350)
-
107
-
중국영화교육 추의(芻議)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어중문학,
v.0,
2005,
pp.457-491)
-
108
-
중국영화의 국적성 혹은 지역성과 역사ㆍ문화정치학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영화연구,
v.0,
2008,
pp.371-390)
-
109
-
트랜스아이덴티티 인물형상의 표상들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20,
pp.271-292)
-
110
-
시각의 충격: ‘상하이영화’ 현대화의 기원에 관하여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영화연구,
v.0,
2019,
pp.65-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