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0건 중 140건 출력
, 11/14 페이지
-
101
-
1955∼1965년 타이완 역사학계의 풍경: ‘북파(北派)’와 ‘남파(南派)’간 경쟁과 진다이스옌쥬숴(近代史硏究所)
-
정문상;
가천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42,
2016,
pp.293-317)
-
102
-
‘中共’과 ‘中國’ 사이에서 - 1950~1970년대 대중매체상의 중국 관계 논설을 통해 보는 한국인의 중국 인식 -
-
정문상;
경원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1,
pp.57-90)
-
103
-
특집1 서문 - 냉전기 한중일 3국의 상호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
-
정문상;
경원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1,
pp.7-13)
-
104
-
문화대혁명을 보는 한국사회의 한 시선―리영희 사례
-
정문상;
경원대 아시아문화연구소;
(역사비평,
v.0,
2006,
pp.212-241)
-
105
-
‘역사전쟁’에서 ‘역사외교’로 - ‘동북공정’에 대한 한국인의 대응양상 -
-
정문상;
경원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15,
2008,
pp.205-232)
-
106
-
1920年代 曾琦(1892~1951)의 國家主義思想과 政治活動
-
정문상;
경원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2,
pp.215-252)
-
107
-
韓國의 冷戰文化 形成과 文化大革命 ― 대중 언론매체와 학계의 문화대혁명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
-
정문상;
경원대학교;
(중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0,
pp.109-129)
-
108
-
‘學生會’에서 ‘自治會’로鄭 文 祥
-
정문상;
;
(중국근현대사연구,
v.25,
2005,
pp.1-28)
-
109
-
1930년대 前半期 항일운동의 전개와 上海 청년학생鄭 文 祥
-
정문상;
;
(중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05,
pp.1-20)
-
110
-
신민주주의교육에서 사회주의교육으로 -1950년대 초반 신중국의 교육정책노선의 전환과 타오싱즈(陶行知) 비판
-
정문상;
가천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45,
2017,
pp.429-4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