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11/12 페이지
-
101
-
계몽과 해방의 미시사 - 정비석의『자유부인』
-
강상희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1,
2011,
pp.177-196)
-
102
-
명랑소설의 장르인식, ‘오락’과 ‘(미국)문명’의 접점 - 1950년대 중/후반 『아리랑』의 명랑소설을 중심으로
-
이선미;
;
(한국어문학연구 =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9,
2012,
pp.55-93)
-
103.
- 황진이 설화의 전개와 소설적 변용
- 박선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32 p,, 2009
-
104
-
한국전쟁 발발 전 지식인을 위한 경찰의 출판 정책
-
이윤정;
경찰대학교 경찰학과;
(한국연구,
v.0,
2021,
pp.169-183)
-
105.
- 1960년대 한국 장편소설 연구
- 박영준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72 p., 2006
-
106
-
해방공간 ‘미국 대리자’의 출현, 조선의 미국화와 책임정치
-
이행선;
국민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13,
pp.269-304)
-
107.
- 한국 현대 가정 서사 연구 : 1950-60년대 신문연재소설에 나타난 식모와 가정교사를 중심으로
- 허예슬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32 p., 2025
-
108
-
아파트를 통해 서울을 소비하기: 1960년대~1970년대 초 주간지와 영화에 나타난 아파트의 젠더 표상
-
신지현;
맥이완대학교(MacEwan University);
(동방학지,
v.0,
2023,
pp.63-88)
-
109.
- 연애대중과 소설 : 1950-60년대 대중소설을 중심으로
- 손혜민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133 p., 2020
-
110
-
대중소설론의 변천과 의의 연구
-
오혜진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22,
2007,
pp.297-3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