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,555건 중 1,000건 출력
, 11/100 페이지
-
101
-
생명지역주의: 생태공동체 운동의 이념적 기초
-
송명규;
김병량;
;
(한국지역개발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,
v.13,
2001,
pp.185-199)
-
102
-
지역공동체와 문화마을학교 융합디자인구상
-
황준호;
(주)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설계본부;
(敎育施設 : 韓國敎育施設學會誌 =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,
v.24,
2017,
pp.22-27)
-
103
-
K-드라마에 나타난 지역 공동체 양상과 대중전략
-
문선영;
한국공학대학교;
(드라마 연구,
v.0,
2024,
pp.95-120)
-
104
-
앤 파워 : 도시재생 및 사회통합에서의 지역공동체 역할
-
신현방;
앤 파워;
;
(국토 = Planing and policy,
v.309,
2007,
pp.85-97)
-
105
-
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
-
신윤창;
손진아;
강원대학교;
강원대학교;
(한국비교정부학보,
v.14,
2010,
pp.217-244)
-
106
-
한국의 도시와 지역공동체의 변화와 전망
-
윤인진;
;
(한국사회 = Journal of Social Research,
v.2,
1999,
pp.199-238)
-
107
-
미디어융합 시대, 지역공동체를 위해 소통하라!
-
김은규;
;
(지역정보화,
v.58,
2009,
pp.23-27)
-
108
-
지역공동체의 실천적 집단지성의 발현으로서 커뮤니티매핑에 대한 소고
-
정수희;
이병민;
건국대학교;
건국대학교;
(서울도시연구,
v.15,
2014,
pp.185-204)
-
109
-
아파트 단지 내 작은도서관 자원봉사 경험이 지역공동체 의식형성에 미치는 영향: D 광역시 아파트 작은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
-
이아영;
이성신;
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정보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,
v.40,
2023,
pp.53-71)
-
110.
- 지방정부의 인권정책과 지역 공동체 : 광주광역시 '인권문화공동체 만들기' 사례를 중심으로
- 이소영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0, 20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