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8건 중 168건 출력
, 11/17 페이지
-
101
-
18?19세기 '複數 창작 전'의 창작 경위와 글쓰기 방식-흔적, 기억, 창조: '언어적' 인간의 탄생과 棲息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5,
pp.289-327)
-
102
-
‘사건화’된 일상과 ‘활자화’된 근대: 근대초기 결혼과 여성의 몸, 섹슈얼리티- 『한성신보』(1895-1905) ‘잡보’란이 조명한 근대초기의 결혼생활 스케치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4,
pp.231-285)
-
103
-
언어의 육체성, 공감과 경험의 수사학:「남원고사」의 문체 미학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3,
pp.8-258)
-
104
-
‘효녀 심청’의 서사적 탄생과 도덕적 딜레마- 감성적 포용과 전향의 맥락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3,
pp.65-103)
-
105
-
조선후기 사대부의 생활공간과 글쓰기 문화 -耳溪 洪良浩의 ‘記’를 중심으로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8,
pp.333-367)
-
106
-
⟨현씨양웅쌍린기⟩에 나타난 ‘부부 관계’와 ‘결혼 생활’의 상상적 조율과 문화적 재배치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0,
pp.301-338)
-
107
-
‘여성 원귀’의 환상적 서사화 방식을 통해 본 하위 주체의 타자화 과정과 문화적 위치-고전 소설에 나타난 ‘자살’과 ‘원귀’ 서사의 통계 분석을 바탕으로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6,
pp.325-355)
-
108
-
도시, 욕망, 환멸:18·19세기 ‘서울’의 발견-18·19세기 야담집 소재 ‘상경담(上京談)’을 중심으로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23,
2003,
pp.15-453)
-
109
-
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, 그리고 귀환의 서사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0,
pp.37-74)
-
110
-
탈경계를 위한 도전: ‘고전-여성-문학-사’를 매개하는 ‘젠더 비평’의 학술사적 궤적과 방향-‘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’의 학술사적 의의와 과제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2,
pp.5-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