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9건 중 159건 출력
, 11/16 페이지
-
101
-
L'orthographe est une politesse Avec sa celebre dictee, Bernard Pivot a remporte pendant pres de vingt ans un success jamais Dementi
-
;
;
(Historia,
v.703,
2005,
pp.74)
-
102
-
Multilingual Narrative and the Refusal of Translation: Theresa Hak Kyung Cha's Dictee and R. Zamora Linmark's Rolling the R's
-
Miller, J. L.;
;
(International American Studies Association:; How far is America from here?,
v.2005,
2005,
pp.467-480)
-
103
-
언어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문학적 글쓰기
-
김화선;
배재대학교;
(어문연구,
v.49,
2005,
pp.307-328)
-
104
-
재미 한인 여성 소설의 역사 전유와 노스탤지아 - ⟨딕테⟩를 중심으로
-
구재진;
서울시립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0,
pp.57-79)
-
105
-
차학경의 ⟨딕테⟩에 나타난 정체성에 대하여 -미주 이민문학과 관련하여-
-
홍경표;
대구가톨릭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4,
pp.469-492)
-
106
-
언어, 정체성, 장르의 경계 넘기: 차학경의 딕테
-
정은숙;
중앙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49,
2007,
pp.331-350)
-
107
-
미국소설 속의 한국: 조선 삽화 와 딕테에 나타난 반복 이미지
-
권택영;
경희대학교;
(미국소설,
v.13,
2006,
pp.27-50)
-
108
-
테레사 학경 차 『딕테』의 「에라토: 연애시」장 분석 - 형식미를 통한 디아스포라적 의식의 표현
-
장한길;
소속없음;
(동방학지,
v.0,
2020,
pp.53-86)
-
109
-
언어, 정체성, 장르의 경계 넘기: 차학경의 딕테
-
정은숙;
;
(영어영문학연구,
v.49,
2007,
pp.331-350)
-
110
-
한국계 미국여성소설과 기억의 문화정치학: ꡔ딕테ꡕ와 ꡔ종군위안부ꡕ
-
이경순;
전남대학교;
(영어영문학21,
v.19,
2006,
pp.69-9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