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167건 중 1,000건 출력
, 12/100 페이지
-
111
-
헤세가 한국 작가들에게 미친 영향 - 전혜린, 조병화, 김동리를 중심으로
-
Kyung Yang Cheong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7,
2002,
pp.53-71)
-
112
-
김동리의 사상적 계보 연구
-
김주현;
경북대학교;
(어문학,
v.79,
2003,
pp.369-388)
-
113.
- 김동리와 황순원 시 연구
- 전경석
-
忠南大學校, 국내석사,
81 p., 1994
-
114.
- 김동준의 중모리 고법 연구 : 춘향가 中 이별가를 중심으로
- 정명기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09 p., 2016
-
115.
- 김동리 전후문학의 연구 : 전쟁 체험과 그 극복 양상을 중심으로
- 우미희
-
아주대학교, 국내석사,
47, 2006
-
116.
-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재생과 주술 모티프 연구
- 한수연
-
건국대학교, 국내석사,
90p., 2002
-
117.
- 김동리 시에 나타난 죽음의식 연구
- 양일석
-
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2 p., 2001
-
118.
- 김동환 시의 정서 연구
- 정미나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89장, 2013
-
119
-
산업계에서의 센서 기능과 역할 : 광파이버 센서, 2
-
김동화;
;
(自動制御計測= Monthly magazine of automatic control instrumentation,
v.18,
2005,
pp.85-91)
-
120
-
단순기능을 넘어 인간 감성까지 구현 : 세상은 인공지능으로 진화한다
-
김동화;
;
(생산기술,
v.18,
2007,
pp.10-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