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23건 중 223건 출력
, 12/23 페이지
-
111
-
신망(新莽)시대 깐쑤(甘肅)지역의 회화 표현법과 안료 수급 — 쭈옌(居延)지역과 우웨이(武威)지역 출토 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—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24,
2016,
pp.261-296)
-
112
-
魏晉 및 16國시대 酒泉지역의 顔料-種類 및 用例 特徵을 中心으로-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,
v.12,
2018,
pp.167-192)
-
113
-
문자(gra,mma)와 영(pneu/ma) - 고린도후서 2:14-3:6을 중심으로
-
김병모;
호남신학대학교;
(신약논단,
v.17,
2010,
pp.57-77)
-
114
-
魏晉 및 16國時代 敦煌地域의 顔料-種類 및 用例 特徵을 中心으로-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,
v.13,
2018,
pp.185-213)
-
115
-
中國 古代繪畵에서 山水樹石의 表現法 發展과 分化 -3~6세기를 중심으로-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22,
pp.83-125)
-
116
-
魏晉 및 16國時代 河西地域 顔料의 來源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,
v.14,
2019,
pp.121-155)
-
117
-
국가 수취 대상으로서 조선시대 膠의 분류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21,
pp.337-382)
-
118
-
5-6세기 중국 회화의 채색(彩色) 및 선묘(線描) 분화(分化)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22,
pp.349-381)
-
119
-
魏晉時代 河西지역 1磚1畵에 반영된 회화 표현법 변용의 원인-안료 수급의 문제를 중심으로-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,
v.23,
2022,
pp.171-216)
-
120
-
魏晉時代 河西地域 1磚1畵 표현법의 회화발전사적 의미성 연구 -1전1화 출현과 안료 수급 및 소비의 상관성 검토를 위한 기초 연구를 중심으로-
-
김병모;
동국대학교;
(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,
v.18,
2020,
pp.247-2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