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20건 중 420건 출력
, 12/42 페이지
-
111
-
해방공간(1945-1948) ‘조선적 맑스주의자’ 백남운의 ‘연합성 신민주주의론’과 자유주의
-
안외순;
한서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07,
pp.243-264)
-
112
-
계급이론과 역사유물론-맑스주의 개조의 쟁점들-
-
서관모;
충북대학교;
(경제와 사회,
v.59,
2003,
pp.1-31)
-
113
-
Dialectical Materialism and the Canon of Marxism in Korea Under the Japanese Rule During the late 1920s
-
Kim, Young Jin;
;
(역사문제연구,
v.44,
2020,
pp.195-235)
-
114
-
‘민주주의 이후의 민주화론’에 대한 맑스주의적 비판
-
박영균;
건국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2,
pp.175-207)
-
115
-
맑스주의와 생태주의의 그릇된 반목을 넘어 : '생태학적 맑스'와 '세 가지 생태학'의 절합을 위하여
-
심광현;
;
(문화과학,
v.56,
2008,
pp.64-97)
-
116
-
여성 억압의 원인에 대한 크리스틴 델피의 재고찰 (1) : 전통 맑스주의 페미니즘의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
-
강초롱;
서울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8,
pp.281-317)
-
117
-
변증법적 비평과 종합적 지성: 『문화적 맑스주의와 제임슨』 읽기
-
오길영;
충남대학교;
(안과밖:영미문학연구,
v.0,
2014,
pp.269-275)
-
118
-
폴 스위지의 맑스주의와 세 개의 현대- 실패와 유산
-
이병천;
강원대학교;
(사회경제평론,
v.0,
2004,
pp.179-208)
-
119
-
해방 후 맑스주의 원전 번역과 조선좌익서적출판협의회
-
박종린;
한남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17,
pp.205-236)
-
120
-
백남운과 자유주의:‘식민지 자유주의’에 대한 ‘조선적 맑스주의자’의 비판적 인식을 중심으로
-
안외순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05,
pp.71-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