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77건 중 677건 출력
, 12/68 페이지
-
111
-
The Vatican’s Interest and Support for South Korea
-
Kwan, Young-Myoung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65,
2024,
pp.311-396)
-
112
-
바티칸 페르시아어 마태복음 필사본 Vat. Pers. 4 ― 13~14세기 페르시아어 성경 번역본들과의 관계성 연구 ―
-
곽문석;
안양대학교;
(성경원문연구,
v.0,
2020,
pp.171-195)
-
113
-
대한민국에 대한 바티칸의 관심과 지지 (1947~1958년) - 교황청 역사문서고 사료들 중심으로 -
-
권영명;
내포교회사연구소;
(교회사연구,
v.0,
2024,
pp.311-396)
-
114
-
《바티칸 문서》와 《기해-병오 박해 순교자 증언록》은 어떤 관계인가?
-
안재원;
서울대학교;
(교회사학,
v.0,
2014,
pp.35-94)
-
115
-
『바티칸 단편』(Vatikanisches Fragment)에 나타난 루터신학 연구- 시편 4편을 중심으로
-
정병식;
서울신학대학교;
(신학사상,
v.0,
2013,
pp.157-186)
-
116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의 성인들의 전례력에 대한 개혁
-
정의철;
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과사상,
v.0,
1993,
pp.228-253)
-
117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종교간 대화의 전개에 관한 신학적 고찰 - 오늘날의 종교적 상황 안에서 그리스도교의 위치 -
-
이상택;
대구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,
v.0,
2006,
pp.137-168)
-
118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나타난 평신도 그리스도인의 성덕 소명
-
고준석;
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,
v.0,
2011,
pp.139-160)
-
119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한국 수도 생활의 변화와 쇄신
-
최혜영;
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과사상,
v.0,
2006,
pp.217-249)
-
120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에 기초한 인간과 사회와 종교
-
서명옥;
대전가톨릭대학교;
(신학전망,
v.0,
2019,
pp.195-2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