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1건 중 141건 출력
, 12/15 페이지
-
111
-
탐험과 정복의 '전장(戰場)'으로서의 원시림, 지리산- 1930년대 학생기행문을 중심으로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5,
2011,
pp.171-196)
-
112
-
지리산 현대시와 사운드스케이프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16,
pp.67-97)
-
113
-
매천(梅泉) 황현(黃玹) 관련 역사소설 소고(小考)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호남학,
v.0,
2010,
pp.215-241)
-
114
-
1930년대 제주도․한라산 기행문 고찰 - 여행안내서와의 상호 관련성을 중심으로 -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5,
pp.237-265)
-
115
-
한효의 월북 이후 문학비평 고찰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8,
pp.329-356)
-
116
-
『겨울 골짜기』의 개작 양상 고찰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0,
pp.257-285)
-
117
-
‘전시’된 식민지와 중층적 시선, 지리산 ―1930년대 여행안내기와 지리산 기행문 재고(再考)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3,
pp.127-154)
-
118
-
⟨조선과 만주(朝鮮及滿洲)⟩에 나타난 조선 산악 인식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6,
2012,
pp.307-334)
-
119
-
문순태의 『피아골』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호남학,
v.0,
2015,
pp.59-87)
-
120
-
‘고분객(孤憤客)’의 신악(神岳), 무등산 -이은상의 「무등산 유기」 고찰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호남학,
v.0,
2013,
pp.33-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