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1건 중 161건 출력
, 12/17 페이지
-
111
-
한⋅중 소상팔경도의 조형성과 표상 비교 - ‘소상야우’를 중심으로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4,
pp.111-141)
-
112
-
20세기 전반 서화가의 아회와 서화합작— 우청 황성하의 작품을 중심으로 —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3,
pp.189-222)
-
113
-
사랑채가 있는 풍경 -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-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0,
pp.295-329)
-
114
-
정원 속의 작은 정원 — 조선후기 盆景애호와 園林畵의 분경 —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09,
pp.401-440)
-
115
-
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석당논총,
v.0,
2011,
pp.55-90)
-
116
-
1980~90년대 현대 한국화의 통섭-황창배(1947~2001)가 창출한 ‘지필묵’의 경계 확장-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6,
2014,
pp.157-185)
-
117
-
1980년대 한국화의 ‘산수'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15,
pp.5-32)
-
118
-
北宋 六賢과 조선후기의 聖賢故事帖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2,
pp.141-173)
-
119
-
19세기 碧梧社의 雅會帖 -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 [五老會帖]에 관한 연구
-
송희경;
경희대학교;
(서울학연구,
v., 0,
2003,
pp.59-100)
-
120
-
1950년대 전통화단의 ‘인물화’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8,
2015,
pp.137-1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