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8건 중 138건 출력
, 12/14 페이지
-
111.
- <홍길동전>과 <구운몽>의 유토피아 비교와 교육적 적용
- 서수빈
-
건국대학교, 국내석사,
v, 138 p., 2020
-
112.
- 현실 차원과 신성 차원을 매개한 한국 무속신화의 구조와 의미 분석 : <바리공주>와 <세경본풀이>를 중심으로
- 박시언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94, 2022
-
113.
- <목란시>와 <바리공주>의 효행서사 비교 분석 : 사회규범과 자기실현을 중심으로
- 이염희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6, 2024
-
114.
- 남녀관계의 위기와 지속에 대한 서사지도 구축과 문학치료 활용 연구
- 김정희
-
건국대학교, 국내박사,
xi, 322 p., 2018
-
115.
- <구렁덩덩신선비> 설화를 통한 상상력 증진 교육 방안 연구 :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
- 권예지
-
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43, 2019
-
116.
- 한국 구비설화 속 괴물의 양태와 콘텐츠화 전망
- 이승민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39, 2016
-
117.
- <숙영낭자전> 서사 연구 : 설화·소설·판소리·서사민요의 장르적 변모를 중심으로
- 류호열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93 p., 2010
-
118.
- 고전문학 교육과 게임의 접목 방안 연구 : 의무가 아닌 재미로서의 고전문학 학습을 위하여
- 박강옥
-
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103 p., 2011
-
119.
- 설화에 대한 다문화적 접근과 문화교육 : 며느리설화를 중심으로
- 오정미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82 p., 2012
-
120.
- 사물성의 맥락에서 본 도깨비와 바보 설화 연구
- 손영은
-
건국대학교, 국내박사,
iv, 273 p., 20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