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8건 중 118건 출력
, 12/12 페이지
-
111
-
『국조명신록(國朝名臣錄)』의 내용과 특징
-
김범;
국사편찬위원회;
(한국문화연구,
v.12,
2007,
pp.199-244)
-
112
-
17세기 초반 『경당일기』의 의례 기록과 그 특징
-
이병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국학연구,
v.0,
2022,
pp.185-226)
-
113
-
조선후기 전란 제재 소설에 그려진 북부지방의 표상
-
권혁래;
용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7,
pp.5-38)
-
114
-
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양상 연구: 『당토행정기(唐土行程記)』와 『조선징비록(朝鮮懲毖錄)』을 중심으로
-
우채리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3,
pp.597-630)
-
115
-
인조~현종대 정몽주 인식
-
김보정;
부산대학교;
(포은학연구,
v.24,
2019,
pp.243-278)
-
116
-
신립 전설의 문학적 형상화와 환상적 현실 인식
-
김정녀;
건양대학교;
(어문논집,
v.48,
2003,
pp.7-236)
-
117.
-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
- 김경태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98 p., 2014
-
118
-
이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임진왜란용이 될 수 없다 - 동북방의 여진 정세와 관련하여
-
민덕기;
;
(韓日關係史硏究= (The)Korea-Japan historical review,
v.41,
2012,
pp.155-1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