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90건 중 990건 출력
, 12/99 페이지
-
111
-
진해 문화 재설정 커뮤니티댄스 기획 – 진해 “꽃비내리는 마을 공동체” 근대 유적지 project -
-
김유진;
원광대학교;
(한국무용교육학회지,
v.24,
2013,
pp.101-119)
-
112
-
회재 이언적 유적지의 풍수적 특성
-
박성대;
지종학;
대구가톨릭대학교;
사단법인 대한풍수지리학회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20,
pp.405-436)
-
113
-
러시아 프리모르스키(沿海州) 지역에 있는 발해유적지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
-
이블리예프 아.엘;
;
(高句麗硏究= Journal of Koguryo studies,
v.6,
1999,
pp.201-206)
-
114
-
현장체험학습을 위한 유적지 답사 어플리케이션 개발
-
김정이;
동명대학교;
(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,
v.8,
2013,
pp.33-41)
-
115
-
유적지 출토 청동용기에서 확인되는 주조와 단조 기술: 경주 망덕사지 출토 청동용기를 중심으로
-
김소진;
김영도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;
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과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40,
2024,
pp.224-232)
-
116
-
국제적 관점에서 조망한 한국 문화재 관리에 대한 일고찰 - 남강댐수몰지구 유적지 조사를 중심으로 -
-
Bale Martin T.;
(재)울산문화재연구원;
(古文化 = Korean antiquity,
v.58,
2001,
pp.137-152)
-
117
-
고고학 유적지에서 적용 가능한 농경 지시자료와 한반도의 농경활동
-
김혜령;
윤순옥;
(재)충청문화재연구원 고환경연구소;
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;
(한국제4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,
v.2006,
2006,
pp.23-25)
-
118
-
군산시 내흥동 유적지에서 산출된 후기 플라이스토세의 유기질 미화석과 고환경
-
이상헌;
김주용;
김진관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;
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;
(고생물학회지 =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,
v.23,
2007,
pp.187-203)
-
119
-
유적지 평면도 전산화를 통한 지리정보시스템 개발과 고고학적 활용방안 연구
-
김만규;
장동호;
박종철;
김용민;
신종국;
송의정;
심상육;
공주대학교 지리학과공주대학교 지리학과공주대학교 지리학과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;
;
공주대학교;
;
;
;
;
(한국지형학회지,
v.13,
2006,
pp.21-33)
-
120
-
韓國의 북방지역유적지발굴조사개황
-
양태진;
북한학회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0,
1988,
pp.337-3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