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12/16 페이지
-
111
-
서간도 대한광복군사령부와 대한광복군총영에 대한 재검토
-
윤대원;
서울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06,
pp.101-140)
-
112
-
『純宗實紀』의 고종시대 인식과 을사늑약의 외부대신 직인 ‘강탈’ 문제
-
윤대원;
규장각한국학연구원;
(규장각,
v.0,
2013,
pp.277-305)
-
113
-
1910년 병합 「칙유」의 文書上의 결함과 불법성
-
윤대원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1,
pp.125-152)
-
114
-
임시정부법통론의 역사적 연원과 의미
-
윤대원;
서울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09,
pp.103-135)
-
115
-
대한민국임시정부의 3·1절 기념과 3·1운동 인식
-
윤대원;
서울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17,
pp.53-84)
-
116
-
玄楯에게 ‘秘傳’된 임시정부의 실체와 대한공화국임시정부
-
윤대원;
서울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09,
pp.265-304)
-
117
-
한말 ‘立憲政體’ 논의와 ‘민주공화’의 의미
-
윤대원;
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;
(한국문화,
v.0,
2019,
pp.187-208)
-
118
-
망각 속의 기억과 꿈
-
윤대원;
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;
(역사연구,
v.0,
2019,
pp.343-350)
-
119
-
국민대표회의 이후 개조파의 정국쇄신운동과 국무령제의 성립
-
윤대원;
서울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00,
pp.75-110)
-
120
-
‘병합조칙’의 이중적 성격과 ‘병합칙유’의 동시 선포 경위
-
윤대원;
서울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5,
pp.49-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