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3건 중 173건 출력
, 12/18 페이지
-
111
-
여성적 글쓰기로 성 지배 담론 전복하기-마가렛 앳우드의 『시녀 이야기』
-
이선진;
부산대학교;
(여성학연구,
v.30,
2020,
pp.113-147)
-
112
-
중국 내 한국어 중·고급 교실에서의 구어 오류에 대한 교사 피드백 연구
-
이선진;
경희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,
v.42,
2015,
pp.173-201)
-
113
-
The Politics of Be(long)ing Home: Sandra Cisneros’s The House on Mango Street and Loida Maritza Pérez’s Geographies of Home
-
이선진;
부산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18,
2011,
pp.285-319)
-
114
-
한국어 교육에서의 말하기 연구 동향 분석 및 연구 방안 모색 -201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-
-
이선진;
경희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17,
pp.71-122)
-
115
-
경극(京劇)의 공간적 특성과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
-
이선진;
한양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;
(연기예술연구,
v.27,
2022,
pp.49-68)
-
116
-
“새로운 세계의 가장자리에서”―캐시 애커의 『퍼시, 해적들의 왕』에 나타난 여해적의 존재론
-
이선진;
부산대학교;
(새한영어영문학,
v.64,
2022,
pp.31-61)
-
117
-
A Politics of Emotion in Sapphire’s Push
-
이선진;
부산대학교;
(영미연구,
v.44,
2018,
pp.27-64)
-
118
-
과제 복잡성에 따른 학습자 발화 연구-화용적 측면을 중심으로-
-
이선진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언어와 문화,
v.21,
2025,
pp.105-131)
-
119
-
장애를 재상상하기―날로 홉킨슨의 『나의 자매』
-
이선진;
부산대학교;
(새한영어영문학,
v.63,
2021,
pp.61-88)
-
120
-
한국어 교재의 과제 복잡성 분석 연구-한국어 통합 교재 3종을 중심으로-
-
이선진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어교육,
v.33,
2022,
pp.163-1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