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3건 중 163건 출력
, 12/17 페이지
-
111
-
주체문예이론의 기원-해방기 김일성의 문예이론의 변개(變改)와 그 허구성-
-
남원진;
건국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25,
pp.99-129)
-
112.
- 남.북한 인물화의 비교연구 : 1950년이후
- 김병남
-
원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9p., 2001
-
113
-
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Ultrasonic Device for Measuring Height in Adults
-
조선화;
Young Gyu Cho;
Hyun Ah Park;
봉아라;
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교실;
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;
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;
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;
(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,
v.42,
2021,
pp.376-381)
-
114
-
An important role for peroxiredoxin II in survival of A549 lung cancer cells resistant to gefitinib
-
권태호;
노진경;
이재철;
박영호;
신혜준;
조선화;
강용국;
김보연;
윤도영;
유대열;
한국생명공학연구원;
서울시립대학교;
서울시립대학교;
한국생명공학연구원;
한국생명공학연구원;
한국생명공학연구원;
한국생명공학연구원;
한국생명공학연구원;
건국대학교;
한국생명공학연구소;
(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,
v.47,
2015,
pp.1-8)
-
115
-
역사속 과학인물 - 국립묘지 묻힌 한국 최초의 화학자 '이태규(1902~1992년)'
-
박성래;
한국외국어대 사학과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3,
2000,
pp.32-34)
-
116.
- 20세기 한국회화에서의 전통론
- 박계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vi, 424 p., 2006
-
117
-
북한의 현대 목판화에 관한 연구 -수인목판화를 중심으로-
-
이희정;
국민대학교;
(동양미술사학,
v.20,
2025,
pp.159-191)
-
118
-
변월룡의 북한파견(1953~1954)과 1950년대 전반기 북한미술의 변화
-
김문경;
서울역사박물관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20,
pp.207-239)
-
119.
- 정신지체아동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역할 수행과의 관계
- 유정민
-
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46p., 2003
-
120
-
북한 조선미술박물관의 설립 경위와 초창기 전시 체계
-
박윤희;
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9,
pp.127-1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