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3건 중 183건 출력
, 12/19 페이지
-
111
-
Secondary School Teacher’s Satisfaction with and Demand for an In-service Program for Yungbokhap Education
-
주미경,;
박모라,;
문종은,;
;
(교과교육학연구 =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,
v.17,
2013,
pp.521-547)
-
112
-
독일어 수업에서의 즉흥연기
-
주미경;
성신여자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독일어,
v.0,
2014,
pp.1-19)
-
113
-
신라 건국신화를 통해 본 신라인의 색채의식의 형성 試論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한국색채학회논문집,
v.21,
2007,
pp.61-69)
-
114
-
조선시대 민화에 나타난 전통색 분석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디자인지식저널,
v.0,
2013,
pp.271-282)
-
115
-
한국 공립(公立)박물관 전문 인력 운영 현황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디자인지식저널,
v.0,
2013,
pp.361-374)
-
116
-
성경에 나타난 ‘색 연상’에 관한 연구 -기독교인 중심으로-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디자인지식저널,
v.0,
2012,
pp.270-281)
-
117
-
카이저의 『유대인 과부』에 나타난 니체의 생철학
-
주미경;
성신여대;
(독일어문학,
v.16,
2008,
pp.107-128)
-
118
-
성경에 나타난 색 이미지 연구 -청색을 중심으로-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디자인지식저널,
v.0,
2012,
pp.109-117)
-
119
-
한국인의 자생미학으로서 전통 색채관 연구 - 오방색을 중심으로 -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2,
pp.231-264)
-
120
-
마르셀 뒤샹 미학의 현대미술론적 가치 조명
-
주미경;
삼육대학교 미술컨텐츠학과;
(조형교육,
v.0,
2015,
pp.273-29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