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,601건 중 1,000건 출력
, 12/100 페이지
-
111.
- 동화구연식 정보그림책 읽어주기가 유아의 이해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
- 김형숙
-
계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58, 2010
-
112
-
신체 언어의 기능과 의미 분석 - 보여주는 의사소통으로서 신체 언어의 기능 -
-
박현선;
한국교원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0,
pp.45-64)
-
113
-
A study of the early Mādhyamika commentaries and the Twelve gate treatise
-
YASUI, Mitsuhiro;
;
(不敎文化學會紀要,
v.22,
2013,
pp.L82-L100)
-
114
-
반성과 지향의 이론적 형식으로서러시아 언어학의 흐름: 마르주의 시기부터 현재까지
-
이기웅;
경북대학교;
(러시아연구,
v.15,
2005,
pp.194-239)
-
115
-
국어 낭독체 발화의 운율경계 예측
-
김효숙;
김정원;
김선주;
김선철;
김삼진;
권철홍;
(주)언어과학부설 음성공학연구소;
(주)언어과학부설 음성공학연구소;
(주)언어과학부설 음성공학연구소;
(주)언어과학부설 음성공학연구소;
(주)언어과학부설 음성공학연구소;
대전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;
(말소리,
v.43,
2002,
pp.1-9)
-
116
-
失語症者の職業復帰
-
Sato, Hitomi;
Endo, Takashi;
Hosaka, Toshio;
Hasegawa, Tsuneo;
;
(失語症硏究 : 日本失語症學會誌 = Higher brain function research,
v.7,
1987,
pp.1-9)
-
117
-
Language as a means of selfesteem and discourse - Focused on the novel Bernhard Schlink’s Der Vorleser
-
Kim, Mi-Young;
;
(인문학연구 :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,
v.123,
2021,
pp.35-60)
-
118
-
Proposal on Scenes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Thinking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-Focusing on appreciative linguistic behavior-
-
Kim, TaeHee;
;
(日本硏究 = Japanese studies,
v.54,
2021,
pp.27-47)
-
119
-
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언어경관 연구 -연길, 훈춘, 화룡의 간판을 중심으로-
-
오성애;
중국해양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24,
pp.97-127)
-
120.
- T.S. 엘리엇의 「네개의 사중주」에 구현된 시간과 언어의 문제
- 배숙자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163p., 199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