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8건 중 168건 출력
, 12/17 페이지
-
111
-
‘효녀 심청’의 서사적 탄생과 도덕적 딜레마- 감성적 포용과 전향의 맥락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3,
pp.65-103)
-
112
-
女工ㆍ婦德ㆍ梱政과 ‘영혼 노동’: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결혼생활과 노동/장 재성찰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인문과학,
v.123,
2021,
pp.297-331)
-
113
-
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사회적 평판과 인정구조 재성찰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1,
pp.185-232)
-
114
-
조선시대 노-주의 연결망과 공동체성, ‘아카이브 신체’—『쇄미록』의 노비 기록에 대한 문학해석학적 연구—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3,
pp.129-160)
-
115
-
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, 그리고 귀환의 서사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0,
pp.37-74)
-
116
-
18세기 여성 대상 애제문과 비지문을 통해 본 한문의 ‘문자적ㆍ구술적’ 포용성 - ‘한문/언문’과 ‘말/글’의 중첩과 포용의 맥락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5,
pp.259-289)
-
117
-
⟨현씨양웅쌍린기⟩에 나타난 ‘부부 관계’와 ‘결혼 생활’의 상상적 조율과 문화적 재배치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0,
pp.301-338)
-
118
-
여성성의 재발견 : 이성, 지혜, 성공의 탈영토화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3,
pp.193-230)
-
119
-
노년기 여성적 삶의 공론장, 17~19세기 여성 대상 壽序 -여성의 ‘잘 나이들기’에 대한 생애 성찰과 여성적 삶의 전범화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1,
pp.87-129)
-
120
-
조선후기 사대부의 생활공간과 글쓰기 문화 -耳溪 洪良浩의 ‘記’를 중심으로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8,
pp.333-3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