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9건 중 209건 출력
, 12/21 페이지
-
111
-
陶山九曲 定立과 陶山九曲詩 창작배경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4,
pp.319-351)
-
112
-
薛泰熙의 『大學』 해석 연구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5,
pp.181-218)
-
113
-
旅軒 張顯光의 『中庸』 해석과 그 의미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6,
pp.169-207)
-
114
-
조선후기 嶺南의 經學硏究와 疏通의 摸索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8,
pp.169-204)
-
115
-
成汝信의 「遊頭流山詩」에 대하여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41-73)
-
116
-
德山九曲 設定의 필요성과 의의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191-228)
-
117
-
?溪 兪好仁의 志趣와 詩文學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05,
pp.31-87)
-
118
-
金宇顒이 지은 「南冥先生行狀」의 敍事에 대하여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4,
pp.39-76)
-
119
-
俛宇 郭鍾錫의 「入德門賦」에 대하여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5,
pp.35-68)
-
120
-
艮湖 崔攸之의 ?大學章句? 改訂과 그 意味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12,
2002,
pp.5-1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