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1건 중 121건 출력
, 12/13 페이지
-
111.
- 조선후기 재이론(災異論)의 변화 : 이론체계와 정치적 기능을 중심으로
- 경석현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326 p.p, 2018
-
112
-
망자를 위한 글쓰기의 장르 간 특성 연구 –겸재(謙齋) 조태억(趙泰億)을 중심으로-
-
권진옥;
단국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55,
2021,
pp.573-599)
-
113
-
16~17세기 예학의 지역적 분화과정과 그 특징
-
고영진;
;
(국학연구,
v.13,
2008,
pp.17-57)
-
114
-
조선 후기 伯夷·叔齊에 대한 인식과 淸聖廟 건립의 含意–「淸聖廟碑」와 「淸聖廟重修碑」를 중심으로 살펴본 小中華 의식과 華夷觀–
-
김융창;
단국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61,
2022,
pp.195-220)
-
115.
- 朝鮮後期 肅宗代 關王廟 致祭의 性格
- 한종수
-
中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, 97 p., 2003
-
116
-
沈大允의 『禮記』 ‘舊說’과 ‘新注’에 대한 辨正 意味 —심대윤의 『예기정해』 「檀弓」편의 分析을 中心으로—
-
장병한;
영산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22,
2015,
pp.9-45)
-
117
-
전통 시대 우리나라 귀화인(歸化人)에 대한 기록 양상과 형상화 특징
-
권진옥;
단국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23,
pp.5-34)
-
118
-
곤륜(昆侖) 최창대(崔昌大)의 문장론 연구
-
권진옥;
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8,
pp.7-34)
-
119
-
明齋 尹拯에 대한 後代 評價와 追崇
-
이형성;
전주대학교;
(유학연구,
v.20,
2009,
pp.127-158)
-
120
-
소론계(少論系) 학인 간 격물(格物) 논변의 배경과 향방
-
이원준;
廈門大學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22,
pp.89-1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