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54건 중 654건 출력
, 12/66 페이지
-
111
-
로컬크리에이터의 정체성 연구: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역할을 중심으로
-
김순한;
장웅조;
한국개발연구원;
홍익대학교;
(지역과문화,
v.12,
2025,
pp.41-66)
-
112
-
소셜 크리에이터 산업의 활성화 요인 연구
-
오동일;
선문대학교;
(애니메이션연구,
v.12,
2016,
pp.53-68)
-
113
-
중국 크리에이터 영상콘텐츠의 국내 소비에 대한 네트워크 구조와 확산 영향요인 연구 - '펑티모' 동영상의 유튜브 비디오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-
-
손재영;
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;
(예술경영연구,
v.57,
2021,
pp.59-84)
-
114.
- 장소성을 구현하는 문화매개자로서 “로컬크리에이터” 연구
- 권지은
-
연세대학교, 커뮤니케이션대학원, 국내석사,
vi, 84p., 2021
-
115
-
생성형 인공지능과 메타버스로 인한 크리에이터 영상제작의 변화
-
이옥기;
한양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;
(문화예술융합연구,
v., 5,
2024,
pp.37-51)
-
116
-
중장년층 성인학습자의 지역사회 디지털 크리에이터 아카데미 참여경험 연구
-
조민경;
김선주;
국립부경대학교;
국립부경대학교;
(문화예술교육연구,
v.19,
2024,
pp.29-53)
-
117.
- 뷰티 크리에이터의 브랜드 개성에 따른 이용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 및 브랜드감정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
- 홍정미
-
영산대학교, 국내박사,
xiii, 132장, 2020
-
118
-
저시력자 크리에이터를 위한 인클루시브 카메라 구조 디자인 연구
-
김도아;
강수진;
안채량;
정나은;
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디어인터랙션디자인학과;
이화여자대학교;
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;
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;
(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,
v.85,
2023,
pp.267-281)
-
119
-
메타패션 시장 확장을 위한 메타패션과 실제패션 특성 비교와 그 방향성 예측 -Z세대 크리에이터의 제페토 스튜디오와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-
-
박유정;
이윤경;
서울여자대학교 패션산업학과;
부산대학교 의류학과;
(한국의류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,
v.48,
2024,
pp.50-65)
-
120.
- 로컬크리에이터를 통해서 본 지역성의 변화 : 로컬 씬(Scene)과 유튜브가 지역방송에 주는 함의
- 소민정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04 p.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