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0건 중 180건 출력
, 13/18 페이지
-
121
-
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북한 어휘의 비판적 고찰 -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2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-
-
강보선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1,
pp.215-240)
-
122
-
다문화 시대의 방언 교육 방향 연구
-
강보선;
서울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13,
pp.557-580)
-
123
-
북한이탈주민 대상 교육용 어휘의 유형 및 선정 방법 연구
-
강보선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3,
pp.125-152)
-
124
-
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일 관련 문법 성취기준 내용 분석 및 교과서 기술 방향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51,
2016,
pp.169-192)
-
125
-
통일 과도기 ‘남북한 공통 국어’ 과목의 성격 및 목표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55,
2020,
pp.5-30)
-
126
-
공동체·대인 관계 역량 함양을 위한 문법교육의 내용 탐색 -‘언어 다양성 존중’을 중심으로-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우리말글,
v.84,
2020,
pp.33-59)
-
127
-
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법 문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20,
pp.7-38)
-
128
-
국어교육에서의 북한 어휘 교육 연구
-
강보선;
중앙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09,
pp.1-34)
-
129
-
의사소통적 관점에서 살펴본 남북 높임법의 차이 비교
-
강보선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화법연구,
v.0,
2014,
pp.177-204)
-
130
-
북한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의 언어문화 연구
-
강보선;
서울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3,
pp.259-2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