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2건 중 182건 출력
, 13/19 페이지
-
121
-
국어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- 현행 고등학교 『문법』을 검토하면서 -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04,
pp.23-51)
-
122
-
태극권拳理의 중국전통철학적 기초에 대한 연구
-
고영근;
부산외국어대학교;
(도교문화연구,
v.0,
2008,
pp.107-125)
-
123
-
양주동의 국어학 연구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133,
2003,
)
-
124
-
문장의 의미 -뜻의 세계를 찾아서-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한국어 의미학,
v.12,
2003,
pp.1-16)
-
125
-
홍종선, 『국어문법사』 (대우학술총서 618), 국판 1062면, 아카넷, 2017.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형태론,
v.20,
2018,
pp.130-139)
-
126
-
제주어의 시상법에 대하여-특히 서사 시상법과 관련하여-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구결연구,
v.0,
2019,
pp.279-294)
-
127
-
중세어의 소망 평서문의 정체성 문제―임홍빈(2018)과 관련하여―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형태론,
v.22,
2020,
pp.71-76)
-
128
-
부정격의 정립을 위한 시론―후치사·첨사의 확인과 관련하여―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형태론,
v.22,
2020,
pp.77-90)
-
129
-
화용론 및 텍스트 과학의 자율성과 기본 문법 부문과의 관계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텍스트언어학,
v.43,
2017,
pp.1-34)
-
130
-
‘오’/‘’ 계열 어미의 형태론과 통사론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형태론,
v.21,
2019,
pp.351-3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