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77건 중 677건 출력
, 13/68 페이지
-
121
-
인간의 실존과 계시: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을 바탕으로
-
서명옥;
;
(신학전망,
v.0,
2012,
pp.38-76)
-
122
-
중국 대륙과 바티칸 관계개선에 대한 사전적 고찰 - 역사적 대립원인과 그 선결조건의 해결이 갖는 함의를 중심으로 -
-
박만준;
한신대학교;
(중소연구,
v.31,
2007,
pp.57-98)
-
123
-
트렌토 공의회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른 사제직 이해
-
손희송;
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과사상,
v.0,
2010,
pp.11-47)
-
124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사계의 개혁 작업과 새로운 사계전례 형태
-
김석중;
부산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과사상,
v.0,
2000,
pp.104-1226)
-
125
-
계시와 체험: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「계시헌장」을 통해 본 한국교회의 신학적, 사목적 과제
-
한민택;
수원가톨릭대학교;
(신학과철학,
v.0,
2015,
pp.119-160)
-
126
-
칠십인경 바티칸 사본(Cod. B) 필사자 A의 특징: 사무엘하의 본문을 중심으로
-
김정훈;
부산장신대학교;
(구약논단,
v.15,
2009,
pp.104-125)
-
127
-
현대의 봉헌생활: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이후 교황의 가르침을 중심으로
-
김우선;
서강대학교;
(신학전망,
v.0,
2016,
pp.39-73)
-
128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종말론적 교회론의 연속적 측면에서 바라본 시노달리타스
-
명형진;
인천가톨릭대학교;
(신학전망,
v.0,
2022,
pp.53-97)
-
129
-
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에 대한 고찰
-
조정환;
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,
v.0,
2017,
pp.59-94)
-
130
-
바티칸, 제55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입성: 현대미술과 가톨릭교회의 새로운 소통의 시작?
-
김재원;
인천가톨릭대학교;
(현대미술사연구,
v.0,
2014,
pp.95-1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