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57건 중 457건 출력
, 13/46 페이지
-
121.
- 개인전 <LABYRINTH>에 대한 분석 : 앙리 베르그송의 시간과 기억을 중심으로
- 김현태
-
상명대학교, 국내석사,
59장, 2017
-
122
-
수용미학의 관점에서 본 오규원 시 연구
-
이연승;
숭실대학교;
(어문연구,
v.81,
2014,
pp.209-235)
-
123
-
不?味さの政治? -草創期の在日朝鮮人文学に見られる朝鮮人像について
-
渡?直紀;
무사시대학교;
(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,
v.13,
2005,
pp.19-43)
-
124.
- 유년 시절의 이미지 표현
- 박성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49p., 1996
-
125
-
현대디자인을 위한 전통 조형미로서 여백(餘白)에 대한 연구 -조선 중기 이후에 나타난 문인화를 중심으로-
-
장은석;
인하공업전문대학;
(조형미디어학,
v.25,
2022,
pp.186-194)
-
126
-
1960년대 한국 영화 의상에 나타난 여성상
-
김소현;
전재훈;
서울대학교 의류학과;
서울대학교 의류학과;
(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=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,
v.69,
2019,
pp.138-151)
-
127.
- 몸과 마음으로의 사람 표현
- 김정은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47p., 2002
-
128.
- 천상병 시에 나타난 ‘주변인’ 양상 연구
- 서경숙
-
대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87 p., 2010
-
129
-
‘순수하게’ 정치적인 것에 대하여 — 칼 슈미트의 결단주의와 그 비판자들 —
-
조효원;
서강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21,
pp.377-416)
-
130.
- 유희적으로 나타낸 형상과 문자의 표현 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
- 임보하
-
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50 p., 20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