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90건 중 990건 출력
, 13/99 페이지
-
121
-
세계유산 고인돌 유적지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- 고창, 강화, 화순 고인돌 유적지 안내판 디자인을 중심으로 -
-
허진하;
남현우;
임인동;
이재익;
임영순;
인천대학교;
서경대학교;
주토란디자인인터내셔날;
서경대학교;
주봄;
(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,
v.15,
2009,
pp.493-503)
-
122
-
국민대표회의 주요 유적지의 위치 고증
-
손과지;
復旦大學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4,
pp.140-176)
-
123
-
서천 옥북리 유적지 출토 무문 토기의 고고과학적 분석 및 해석
-
한이현;
이찬희;
장성윤;
김명진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(재)충청문화재연구원;
(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6년도 제24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,
v.2006,
2006,
pp.93-97)
-
124
-
김장생 유적지에 대한 풍수관 연구
-
황종태;
이준영;
경주대학교;
대구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19,
pp.1181-1214)
-
125.
- 사회과 현장학습을 위한 WBI 자료 개발 : 초등학교 사회과 ‘제주도 유적지를 찾아서’에 대하여
- 임사문
-
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2p., 2003
-
126.
- 제주도 고대 유적지로부터 발굴된 동물 뼈의 mitochondria DNA의 유전분석
- 김재환
-
제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42p., 2003
-
127
-
한국 유적지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와 지형요인과의 장기적 상호작용
-
박수진;
서울대학교;
(문화역사지리,
v.37,
2025,
pp.76-99)
-
128
-
팔림프세스트측면의 유적전시관의 전시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- 중국 섬서성 고고학박물관, 주원유적지 박물관, 반파유적지 박물관을 중심으로-
-
오선애;
경성대학교;
(전시디자인연구,
v.20,
2023,
pp.5-13)
-
129
-
수운 최제우 유적지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
-
박성대;
대구가톨릭대학교;
(동학학보,
v.0,
2020,
pp.189-228)
-
130
-
백용성의 유적지 복원과 도솔암의 미래
-
김광식;
동국대학교;
(대각사상,
v.0,
2009,
pp.207-2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