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2건 중 402건 출력
, 13/41 페이지
-
121.
- 자질계층이론에 의한 조음위치 자질동화현상 분석
- 허은애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0p., 1997
-
122
-
울산지명의 이형태에 대한 고찰
-
장영길;
;
(新羅 文化,
v.32,
2008,
pp.359-388)
-
123
-
경북 의성 지역어의 ‘Xi-+-əY’ 실현 양상
-
김세환;
영남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8,
pp.161-178)
-
124.
- 중국 신빈현 백기 조선족촌 평북방언의 음운론적 연구
- 오영순
-
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122 p., 2007
-
125
-
판소리 패트론으로서의 대원군과 박유전 <적벽가>의 변모
-
유민형;
고려대학교;
(공연문화연구,
v.38,
2019,
pp.143-191)
-
126.
-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연구 : /ㄴㄹ/의 연쇄를 중심으로
- 이범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3 p., 2022
-
127.
- 서부경남방언의 음운현상에 대한 최적성이론적 분석 : 모음과 관련된 음운현상을 중심으로
- 김은주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63 p., 2011
-
128
-
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도보관광코스 유동인구 추정 및 분석
-
박예림;
강영옥;
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지리학 전공;
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;
(지적과 국토정보 = Journal of cadastre & land informatix,
v.49,
2019,
pp.181-195)
-
129.
- A Phonetic examination of C-to-V place assimilation
- 이주경
-
Unviersity of Illinois, 국외박사,
xxi, 223 p., 1999
-
130.
- Experimental studies of the syllable and the segment in Korean
- 윤여범
-
University of Alberta, 국외박사,
155 p., 199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