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95건 중 695건 출력
, 13/70 페이지
-
121
-
포스트 모던 성찰성과 문화적 전환: 종교 이해의 새로운 전망을 위한 시론
-
송재룡;
경희대학교;
(사회이론,
v.0,
2005,
pp.91-114)
-
122
-
노동의 성격에 따른 문화취향의 차이
-
정선기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90,
2011,
pp.290-319)
-
123
-
김일성의 ‘가치법칙의 형태적 작용’ 테제의 스탈린주의적 기원과 정치경제학적 성격
-
윤철기;
서울교육대학교;
(현대북한연구,
v.23,
2020,
pp.61-102)
-
124
-
플라톤의『향연』에서 ‘아토포스’ 소크라테스
-
조흥만;
전북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23,
pp.161-183)
-
125.
- 규범적 테제로서의 배제적 법실증주의
- 송성국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92 p., 2018
-
126
-
이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공간 진화체로서 17세기 러시아
-
최정현;
대구대학교;
(러시아학,
v.17,
2018,
pp.103-124)
-
127
-
막스 베버와 현대 역사학 -R. H. Tawney의 『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』 수용을 중심으로-
-
최호근;
고려대학교 사학과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24,
pp.159-194)
-
128
-
과학에서의 의인주의에 대한 조르주 캉길렘의 견해
-
박찬웅;
연세대학교;
(생명연구,
v.74,
2024,
pp.1-15)
-
129
-
영어권 계몽주의 연구의 역사와 “잉글랜드 계몽주의”의 발견
-
이우창;
서울대학교;
(코기토,
v.97,
2022,
pp.227-260)
-
130
-
요시다 다이하치 영화와 실재의 윤리 - ⟨키리시마가 동아리 활동 그만둔대⟩, ⟨종이달⟩을 중심으로
-
김세아;
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;
(미래문화,
v.0,
2021,
pp.56-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