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77건 중 577건 출력
, 13/58 페이지
-
121.
- ‘音景’의 發見과 小說的 對應 : 이효석과 박태원을 중심으로
- 임태훈
-
성균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6 p., 2008
-
122
-
Aesthetic Shaping Study of Lee Hyo-seok s Novel - Focused on 『Flowerpot』 and 『Blue Tower』
-
Choi , Sun Young;
;
(리터러시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,
v.10,
2019,
pp.481-505)
-
123
-
이효석 소설의 크로노토프와 여성성 고찰
-
이민정;
한남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5,
2021,
pp.57-88)
-
124
-
A Comparative Study on the Subaltern of Lee Hyo-seok and Mu Shiying’s Initial Novels
-
Jin, Shanhua;
Jin, Zhe;
;
(한중인문학연구 = Studies of Korean & Chinese humanities,
v.83,
2024,
pp.49-75)
-
125
-
이효석 문학의 유토피아 지향과 낭만적 요소
-
이미림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6,
pp.7-34)
-
126
-
이효석의 「하얼빈」에 투영한 애수에 대한 고찰
-
朴 曙潁;
辽宁对外经贸学院外国语学院;
(한국어 교육 연구,
v.0,
2022,
pp.47-60)
-
127
-
문학작품 원본의 오류와 변개 양상-이효석의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-
-
이재춘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6,
1998,
pp.407-429)
-
128
-
이효석 문학에 나타난 문화번역과 경계사유 -『벽공무한』을 중심으로-
-
김미현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5,
pp.361-388)
-
129
-
이효석 소설의 조명
-
김장동;
안동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82,
pp.137-155)
-
130
-
지역의 문학기념사업을 통한 문학 확장의 의미 연구 - 이효석과 봉평을 예로
-
권정희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2,
2009,
pp.489-5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