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,840건 중 1,000건 출력
, 13/100 페이지
-
121
-
중국 인문사회학술단체의 구조와 문제점 - 학술성과 민주성을 중심으로
-
吳顯慶;
정하영;
廣東外語外貿大學校;
廣東外語外貿大學校;
(담론201,
v.14,
2011,
pp.161-191)
-
122
-
한국 전래 동화 속의 금기 파기의 특성과 의미 - 『선녀와 나무꾼』, 『해와 달이 된 오누이』, 『구렁덩덩 새 선비』를 중심으로
-
배덕임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41,
2014,
pp.117-131)
-
123
-
Long distance nationalism and desire of unification of Korean Chinese poet - centre around poet, Hong Yong-am
-
송명희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,
2014,
pp.125-142)
-
124
-
디지털리터러시와 기술수용성이 생성형 AI 사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: 공학과 인문사회 전공자 중심의 비교
-
김영진;
조한라;
최미순;
세한대학교;
세한대학교;
세한대학교;
(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,
v.29,
2024,
pp.305-316)
-
125
-
LCC’s Industry Development and Cooperation in Korea-China-Japan
-
서창배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,
2014,
pp.517-533)
-
126
-
미래교육과 융합교육을 위한 인문사회과학 컴퓨팅 탐색 -사회적 알고리즘 관점을 중심으로-
-
김영훈;
양경은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교원교육,
v.0,
2023,
pp.5-20)
-
127
-
『이슬람 정육점』으로 본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
-
박산향;
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7,
2016,
pp.35-62)
-
128
-
동북아해역 근대 지식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사 검토-서학(西學)의 수용과 한국 근대지(近代知)의 형성을 중심으로
-
서광덕;
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20,
2019,
pp.1-32)
-
129
-
‘디아스포라 공간’개념의 재고찰과 부산 : 이동의 시작에 주목하여
-
최민경;
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9,
2018,
pp.1-24)
-
130
-
동북아해역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- 부경대 HK+사업단 아젠다 연구와 관련하여
-
손동주;
서광덕;
부경대학교;
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교수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2,
2021,
pp.115-1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