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30건 중 1,000건 출력
, 13/100 페이지
-
121
-
강원지역 백두대간 산림의 보호기간에 따른 임분 발달 양상 검토
-
정상훈;
황광모;
임선미;
김지홍;
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;
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;
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;
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;
(Journal of forest science,
v.30,
2014,
pp.133-144)
-
122
-
인공위성 레이다 영상자료를 이용한 임분구조의 물리적 특성파악
-
이규성;
;
(대한원격탐사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,
v.8,
1992,
pp.79-91)
-
123
-
맹종죽 임분에 시비가 상대생장식 및 바이오매스에 미치는 영향
-
조창규;
백경원;
박성완;
유병오;
정수영;
이광수;
김춘식;
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;
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;
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;
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106,
2017,
pp.380-387)
-
124
-
삼나무, 편백, 종가시나무 임분의 토양호흡에 관한 연구
-
백경린;
백경원;
최병길;
김호진;
이지현;
김춘식;
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(한국농림기상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,
v.25,
2023,
pp.71-79)
-
125
-
산마늘 자생지의 임분구조와 식물종의 연관
-
김혜진;
윤춘원;
도은수;
장준복;
최명석;
양재경;
박희권;
신학섭;
이서희;
배관호;
조현제;
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중부대학교 한방제약학과;
중부대학교 한방제약학과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;
한국산림생태연구소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100,
2011,
pp.565-576)
-
126
-
축령산(남서사면) 지역의 식물상 및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
-
김남영;
김영설;
최은희;
손호준;
김정유;
박완근;
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;
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;
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;
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;
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;
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산림자원학부;
(Journal of forest science,
v.22,
2006,
pp.18-26)
-
127
-
신갈나무-전나무 천연(天然) 혼효임분(混淆林分)의 경신(更新) 및 무육방법(撫育方法) I. 임분구조(林分構造)와 작업종(作業種)
-
신만용;
임주훈;
전영우;
고영주;
국민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;
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;
국민대학교 임업대학;
국민대학교 임업대학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81,
1992,
pp.21-29)
-
128
-
임분밀도관리도를 이용한 소나무림의 적정 임분밀도 관리 기준 및 수확목표
-
박준형;
정수영;
유병오;
이광수;
박용배;
김형호;
국립산림과학원;
국립산림과학원;
국립산림과학원;
국립산림과학원;
국립산림과학원;
경상대학교;
(한국산림과학회지,
v.106,
2017,
pp.457-464)
-
129.
- 경남 서부지역 소나무임분의 Biomass에 관한 연구
- 조현종
-
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ii, 30 p., 2008
-
130
-
시비가 상수리나무 임분의 낙엽낙지량에 미치는 영향
-
박진영;
김춘식;
정재엽;
변재경;
손요환;
이명종;
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;
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국립산림과학원 임지보전과;
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;
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부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97,
2008,
pp.582-58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