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3건 중 183건 출력
, 13/19 페이지
-
121
-
독일어 수업에서의 즉흥연기
-
주미경;
성신여자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독일어,
v.0,
2014,
pp.1-19)
-
122
-
Semelfactive Verbs in English and Korean
-
주미경;
부산외국어대학교;
(현대문법연구,
v.0,
2014,
pp.113-137)
-
123
-
미술 감상을 위한 조희룡 작품의 조형성과 예술관 연구 - 매화도를 중심으로 -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0,
pp.239-259)
-
124
-
Lexical Aspect of the Ditransitive Verb Juda and Deulida in Korean
-
주미경;
부산외국어대학교;
(현대문법연구,
v.0,
2016,
pp.75-94)
-
125
-
연담 김명국과 서양회화에서 보여 지는 광태(狂態)의 미학
-
주미경;
삼육대학교 미술컨텐츠학과;
(조형미디어학,
v.19,
2016,
pp.307-316)
-
126
-
색 연상 특성에 관한 연구 - 성별과 연령별 중심으로 -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한국색채학회논문집,
v.21,
2007,
pp.19-29)
-
127
-
성경에 나타난 색 이미지 연구 -청색을 중심으로-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디자인지식저널,
v.0,
2012,
pp.109-117)
-
128
-
한국 공립(公立)박물관 전문 인력 운영 현황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
-
주미경;
삼육대학교;
(디자인지식저널,
v.0,
2013,
pp.361-374)
-
129
-
카이저의 『유대인 과부』에 나타난 니체의 생철학
-
주미경;
성신여대;
(독일어문학,
v.16,
2008,
pp.107-128)
-
130
-
A Trajectory of a Teacher's Professional Growth: An Analysis of Revoicing in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's Classroom Discourse
-
주미경;
한양대학교;
(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,
v.18,
2009,
pp.77-1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