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8건 중 168건 출력
, 13/17 페이지
-
121
-
조선후기 여성의 ‘문화/문학’적 실천(讀・書・行)을 통한 한국 ‘고전/문학’ 연구의 재성찰—성찰적 한국학을 위한 학제적 재맥락화—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6,
pp.115-149)
-
122
-
‘사건화’된 일상과 ‘활자화’된 근대: 근대초기 결혼과 여성의 몸, 섹슈얼리티- 『한성신보』(1895-1905) ‘잡보’란이 조명한 근대초기의 결혼생활 스케치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4,
pp.231-285)
-
123
-
일상ㆍ노동ㆍ생애와 ‘성찰’의 힘, 대화의 공감 동력 - ⟨미생⟩이 던진 질문과 희망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22,
2016,
pp.235-278)
-
124
-
‘사건화’된 일상과 풍속개량론의 사회적 상상: 젠더적 시각으로 본 『제국신문』의 ‘풍속개량‘ 논설과 여성 관련 잡보 기사의 비교 분석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6,
pp.103-152)
-
125
-
계몽의 이면, 무시와 혐오의 감성 정치 - 한성신보(1895-1904) 잡보란을 통해 본 ‘조선’의 표상화 맥락과 감정 수사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5,
pp.5-45)
-
126
-
도시, 욕망, 환멸:18·19세기 ‘서울’의 발견-18·19세기 야담집 소재 ‘상경담(上京談)’을 중심으로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23,
2003,
pp.15-453)
-
127
-
출구 없는 여성, 여성적 시간의 식민화-1910년대 최찬식 소설의 ‘여학생’ 형상화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4,
pp.311-341)
-
128
-
여성 인물의 정체성 구현 방식을 통해 본 젠더 수사의 경계와 여성 독자의 취향 -서울지역 세책본 ⟨하진양문록⟩의 서사와 수사 분석을 중심으로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9,
pp.361-398)
-
129
-
여성문학(사)의 ‘역사/문화’ 공간 생성과 ‘디지털’ 창의-생산을 위한 시론 - 상상지리지 설계와 문화생산을 위한 전제ㆍ조건ㆍ방법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8,
pp.155-198)
-
130
-
텍스트의 힘과 이야기의 형이상학 - 『요재지이』 서사와 논평의 재성찰을 경유하여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인문과학,
v.118,
2020,
pp.49-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