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40건 중 640건 출력
, 14/64 페이지
-
131
-
『조선문학사』(1922) 출현의 안과 밖 ― 재조 일본인 고소설론의 근대 학술사적 함의 ―
-
이상현;
부산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1,
pp.455-485)
-
132
-
Visualization for Communication : ―Define the Value of Data by Compilation and Translation, and Storytelling―
-
SHINGAI, Yuma;
;
(可視化情報學會誌 = Journal of the Visualization Society of Japan,
v.36,
2016,
pp.24-28)
-
133.
- 韓日 兩國 俗談에 나타난 民族性 比較
- 김재영
-
慶尙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73p., 2004
-
134
-
<硏究動向>清代教案研究的回顧與反思
-
치아오 페이;
河南中醫學院;
(중국사연구,
v.0,
2010,
pp.305-324)
-
135.
- 『이아주소(爾雅注疏)』에 나타난 동의어의 의미변화 연구
- 왕일리
-
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,78p, 2020
-
136
-
ビジネス日本語に関わる法律用語の語義認識
-
中村伊知郎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76,
2011,
pp.393-416)
-
137
-
民事訴訟之適時審判與案件管理
-
沈 冠 伶;
;
(법학논총,
v.24,
2010,
pp.265-288)
-
138
-
미야모토 유리코의『두개의 정원(二つの庭)』 -노부코에 있어서의 여성의 자립-
-
이상복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68,
2009,
pp.249-265)
-
139
-
第17回日本総合健診医学会学術大会講演抄録集 総合健診におけるアミラーゼ分画測定の意義について
-
;
;
(日本總合健診醫學會誌 = Japanese journal of MHTS,
v.16,
1989,
pp.138-138)
-
140.
- 韓·中 棄老說話 연구
- 원경철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vi,58 p.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