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0건 중 180건 출력
, 14/18 페이지
-
131
-
의사소통적 관점에서 살펴본 남북 높임법의 차이 비교
-
강보선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화법연구,
v.0,
2014,
pp.177-204)
-
132
-
북한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의 언어문화 연구
-
강보선;
서울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3,
pp.259-284)
-
133
-
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
-
강보선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13,
pp.1-30)
-
134
-
‘남북한 공통 초등 국어 교과서’ 개발의 쟁점 — 어휘 교육을 중심으로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56,
2021,
pp.5-41)
-
135
-
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장 능력 평가 문항에 대한 비판적 고찰- 2017학년도 수능 체제를 중심으로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20,
pp.1-28)
-
136
-
피동 표현 교육의 내용 검토 -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55,
2020,
pp.5-40)
-
137
-
한글 맞춤법 탐구의 실태와 내용 - ‘사이시옷 표기 규정’을 중심으로 -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문법 교육,
v.42,
2021,
pp.1-31)
-
138
-
북한 초급중학교의 학교문법 내용 분석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8,
pp.119-157)
-
139
-
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북한의 어휘교육 내용 고찰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문법 교육,
v.31,
2017,
pp.181-212)
-
140
-
어휘 의식 함양의 관점에서 검토한 어휘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- 말놀이 교육을 중심으로 -
-
강보선;
대구대학교;
(문법 교육,
v.48,
2023,
pp.1-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