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1건 중 151건 출력
, 14/16 페이지
-
131
-
石室墓 造營을 통해 본 渤海의 北方 經營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30,
2008,
pp.153-173)
-
132
-
중국학계의 발해 고분 연구 현황과 쟁점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0,
2018,
pp.285-313)
-
133
-
대외관계기사를 통해 본 당대 발해 인식 검토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전북사학,
v.0,
2018,
pp.137-160)
-
134
-
소형 크레인의 지능형 공유압 자동화 시스템과 동강성 평가를 위한 통합 시뮬레이션
-
김진광;
타이코에이엠피;
(동력시스템공학회지,
v.22,
2018,
pp.69-75)
-
135
-
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발해 건국 집단의 분화․재편과정 검토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8,
pp.187-213)
-
136
-
화장묘 조영과 정치세력 변화의 상관성 연구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5,
2019,
pp.215-237)
-
137
-
『滿洲源流考』의 전거자료와 발해 강역에 대한 서술태도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8,
pp.31-69)
-
138
-
발해사 연구성과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연구방향 모색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9,
pp.133-174)
-
139
-
중국학계의 발해 고고학 연구 동향 및 쟁점 -2010~2022년 발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-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22,
pp.157-184)
-
140
-
발해 용두산고분군 용해구역 M13·M14 고분의 위상과 그 주인공에 대한 시론적 고찰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8,
pp.63-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