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45건 중 1,000건 출력
, 14/100 페이지
-
131
-
1990년대 페미니즘의 사상적 전환 : 다양성, 교차성, 그리고 문화적 성찰을 중심으로
-
신정원;
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;
(한국여성철학,
v.41,
2024,
pp.1-28)
-
132.
- 원(Circle)의 상징성 분석과 개념적 모티브를 적용한 무용작품 크론〈CHRON〉의 창작과정 연구
- 김민정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10장, 2021
-
133.
- 온라인 예술교육의 경관적 실천 : '실험공간'의 형성과 역설
- 심민정
-
전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28 p., 2024
-
134
-
‘재현불가능성’의 맥락에서 본 한국전쟁 사진
-
고경옥;
홍익대학교;
(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,
v.26,
2023,
pp.111-136)
-
135.
- 한국춤의 안무학적 본질과 방법론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
- 황태인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32, 2025
-
136
-
Was ist ein Medium? -Grundlinien einer Medientheorie in der Perspektive des ‚Botenmodells‘
-
지빌레 크레머;
베를린 자유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12,
pp.329-355)
-
137
-
중국의 선(禪)사상으로 본 무인양품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
-
판옌니;
송만용;
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;
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;
(한국융합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,
v.11,
2020,
pp.135-145)
-
138
-
현대미술의 변용된 주술부작화(呪術符作畵)의 아트콜라보 표현연구
-
정혜영;
단국대학교;
(문화예술산업연구,
v.23,
2023,
pp.9-17)
-
139
-
볼노우의 인간학적 공간론에 있어서 ‘거주’의 의미
-
강학순;
;
(하이데거연구,
v.16,
2007,
pp.5-32)
-
140
-
매체생태론으로 본 온라인 무용교육
-
김정은;
신현군;
숙명여자대학교;
숙명여자대학교;
(한국무용연구,
v.38,
2020,
pp.29-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