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0건 중 180건 출력
, 14/18 페이지
-
131
-
17세기 후반 하급 무사의 일상생활과 시정(時政)인식 - 아사히 분자에몬(朝日文左衛門)의 『앵무롱중기(鸚鵡籠中記)』(1691-1717)를 중심으로 -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11,
pp.81-109)
-
132
-
에도시대 촌락규약의 제정과 촌락운영 -‘기나이(畿內)’ 지역을 중심으로-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07,
pp.63-85)
-
133
-
근세성곽의 근대적 변용과 성터 공원의 장소기억― 일본 시코쿠(四国)의 사례를 중심으로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21,
pp.121-154)
-
134
-
일본의 산업유산 담론 변화와 국가 공인화 과정에 관한 연구 - ‘산업기념물’에서 ‘근대화유산’ 그리고 ‘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’으로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도시연구: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24,
pp.65-98)
-
135
-
불확실성 하에서 제품모듈성, 공정모듈성 및 조직혁신성의 관계
-
박진한;
경남대학교;
(한국창업학회지,
v.18,
2023,
pp.280-302)
-
136
-
산업유산은 탈산업화 시대의 새로운 “열린” 공간이 될 수 있을까?― 국내 산업유산 연구의 현황과 과제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도시연구: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22,
pp.55-90)
-
137
-
조감도를 통해 살펴본 1920∼30년대 인천의 심상지리와 시가지 계획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도시연구: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17,
pp.7-39)
-
138
-
1900년대 인천 해안매립사업의 전개와 의의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도시연구: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16,
pp.57-90)
-
139
-
일본 야하타(八幡)제철소의 세계유산 등재와 산업유산 연구의 의의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23,
pp.204-235)
-
140
-
개항 이후 인천의 장소인식 변화와 일제강점기새로운 명소의 등장
-
박진한;
인천대학교;
(도시연구: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18,
pp.53-8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