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66건 중 1,000건 출력
, 14/100 페이지
-
131
-
Gentrification Effects : The Flow of Cultural Refugees and Making Alternative Places in the Vicinities of Hongdae
-
Lee, Kee woong;
;
(도시연구: 역사.사회.문화 =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,
v.14,
2015,
pp.43-85)
-
132
-
고등유민(高等遊民)은 어디로 향하는가 - 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 『춘분 지날 때까지(彼岸過迄)』론 -
-
곽동곤;
고려대학교;
(日本學(일본학),
v.55,
2021,
pp.83-111)
-
133
-
고구려 멸망 후 유민의 반란 및 당과 신라의 관계
-
이케우치 히로시;
정병준;
東京大學;
동국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48,
2014,
pp.253-295)
-
134
-
요대의 발해유민 연구 - 중화인민공화국 학자들의 논저에 대한 토론
-
김위현;
;
(高句麗硏究= Journal of Koguryo studies,
v.29,
2007,
pp.553-590)
-
135.
- 고려태조의 통일정책 연구 : 특히 패서호족과 발해유민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
- 김창겸
-
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국사전공, 국내석사,
66 p., 1985
-
136
-
금(金)건국과 발해유민 - 중화인민공화국 학자들의 주장에 대한 토론
-
김위현;
;
(高句麗硏究= Journal of Koguryo studies,
v.29,
2007,
pp.427-458)
-
137
-
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‧당 관계
-
김강훈;
사동중학교 교사;
(중원문화연구,
v.33,
2024,
pp.149-178)
-
138
-
遺民墓誌銘을 통해본 唐의 東方政策과 高句麗 遺民의 동향
-
여호규;
拜根興;
한국외국어대학교;
中國 陝西 師範大學 歷史文化學院 副敎授;
(동양학,
v.0,
2017,
pp.73-103)
-
139
-
The southern migration of refugees of Goguryeo in Pyeongyang in 670 and restoration movement
-
Kim, Su Jin;
;
(歷史와實學 = The Journal of History and Korean Practical Thought Studies,
v.72,
2020,
pp.5-37)
-
140.
- 고등유민 담론장으로서의『그 후』 : 제라르 주네트의『서사담론』시제 이론을 적용하여
- 이혜경
-
계명대학교, 국내석사,
ii, 95장, 2017